줄을 서듯 자료를 차례차례 저장해요!
자료가 여러 개 있을 때, 컴퓨터는 줄 세우듯 순서대로 정리할 수 있어요. 이렇게 줄을 세워 저장하는 방식이 바로 **리스트(list)**예요!
리스트의 특징은?
- 순서가 있어요 (누가 먼저 들어왔는지 알아요)
- 자료를 쉽게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어요
- 자료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아도 돼요!
그래서 리스트는 자료가 많고 바뀔 일이 많을 때 아주 좋아요!
배열과 리스트의 차이는?
비교 항목 배열 (Array) 리스트 (List)
크기 | 처음에 크기를 정해야 해요 | 자유롭게 늘어나요 |
자료 추가/삭제 | 어려워요 | 쉬워요 |
사용 예 | 점수 5개 저장 | 채팅방 메시지 저장 |
리스트 예시 (생각하기 쉬운 표현)
예를 들어, 내 친구 목록을 저장한다면?
친구목록 = ["지민", "서준", "유나"]
그리고 새로운 친구를 추가할 수도 있어요:
친구목록에 "하린" 추가!
C언어에서는 배열처럼 표현하지만, 리스트 기능은 따로 만들어야 해요
char* friends[4] = {"지민", "서준", "유나", "하린"};
배열로 만들긴 하지만, 리스트처럼 쓰는 연습도 해볼 수 있어요!
오늘 배운 것 정리
리스트는 자료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자유롭게 추가하거나 뺄 수 있는 구조예요. 자료가 늘거나 줄 수 있는 상황에 딱 좋아요!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딕셔너리란 무엇일까? 를 배워볼 거예요!
이름표(키)를 붙여서 자료를 더 똑똑하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에요!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부 5편 - 자료를 꺼내 쓰는 방법(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8) | 2025.05.01 |
---|---|
3부 4편 - 딕셔너리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14) | 2025.05.01 |
3부 2편 - 자료구조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9) | 2025.04.30 |
3부 1편 - 자료형이 뭐야?(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7) | 2025.04.30 |
2부 3편 - 프로그램을 작게 나누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