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부 4편 - 딕셔너리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025. 5. 1. 09:26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728x90
반응형

 

자료에 이름표를 붙이면 더 편해요! 

지금까지는 자료를 순서대로 저장했어요. 하지만 이름을 붙이면 더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이름표를 붙여 저장하는 방식이 바로 **딕셔너리(dictionary)**예요.

 


딕셔너리는 어떤 구조일까?

딕셔너리는 이름(키)값(value) 을 짝지어서 저장해요.

예시:

"이름": "지민"
"나이": 12
"학교": "별빛초등학교"

 이름표(키)를 보면 바로 어떤 값인지 알 수 있어요!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

항목 리스트 딕셔너리

구조 순서대로 저장 이름표를 붙여 저장
접근 방식 순서 번호로 접근 (0, 1, 2...) 이름(키)로 접근 ("이름", "나이" 등)
사용 예 친구 이름 목록 학생 정보 저장

 


C언어에서는 직접 딕셔너리 구조를 만들어야 해요

C언어는 딕셔너리가 따로 없기 때문에, 이렇게 구조체(struct)를 사용해 만들 수 있어요:

struct Student {
    char name[20];
    int age;
    char school[30];
};

struct Student jimin = {"지민", 12, "별빛초등학교"};

 이처럼 키와 값을 구조체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어요!

 


 오늘 배운 것 정리

딕셔너리는 이름표(키)를 붙여서 자료를 저장하는 구조예요. 여러 가지 정보를 쉽게 찾고 관리할 수 있어요!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자료를 꺼내 쓰는 방법을 배워볼 거예요!

딕셔너리나 리스트 안에서 필요한 자료를 꺼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