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료를 저장만 하면 뭐해? 꺼내 써야지!
지금까지 우리는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저장하는 법을 배웠어요. 하지만 중요한 건… 저장한 자료를 꺼내서 사용하는 것!
이번 시간에는 리스트와 딕셔너리에서 자료를 꺼내는 방법을 배워볼 거예요.
리스트에서 꺼내기
리스트는 순서가 있어서 번호(인덱스) 로 꺼낼 수 있어요.
char* friends[3] = {"지민", "서준", "유나"};
printf("첫 번째 친구: %s\n", friends[0]);
리스트는 0번부터 시작해요! (0이 첫 번째예요!)
딕셔너리(구조체)에서 꺼내기
C언어에서는 딕셔너리 대신 구조체를 썼었죠? 저장된 정보를 이렇게 꺼낼 수 있어요:
struct Student {
char name[20];
int age;
char school[30];
};
struct Student jimin = {"지민", 12, "별빛초등학교"};
printf("이름: %s\n", jimin.name);
printf("나이: %d\n", jimin.age);
구조체에서는 이름표(필드 이름)로 꺼내 써요!
왜 꺼내 쓰는 게 중요할까?
- 점수를 저장만 하고 안 꺼내면 의미가 없겠죠?
- 이름, 나이 등을 화면에 보여주거나 조건에 따라 다르게 하려면 꺼내야 해요.
그래서 저장하는 것만큼 꺼내는 것도 중요해요!
오늘 배운 것 정리
리스트는 번호로, 딕셔너리는 이름표로 자료를 꺼낼 수 있어요. 자료는 꺼내서 써야 진짜로 쓸모가 생겨요!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문법 기초 배우기 로 넘어가요!
코드를 쓸 때 꼭 지켜야 할 규칙과 기호들에 대해 하나씩 배워볼 거예요!
728x90
반응형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부 2편 - 띄어쓰기와 맞춤법 지키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31) | 2025.05.02 |
---|---|
4부 1편 - 코드에는 순서가 있어!(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8) | 2025.05.02 |
3부 4편 - 딕셔너리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14) | 2025.05.01 |
3부 3편 - 리스트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4) | 2025.04.30 |
3부 2편 - 자료구조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9)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