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퓨터도 정보를 구분해서 기억해!
우리는 매일 숫자, 글자, 참/거짓 같은 다양한 정보를 다뤄. 컴퓨터도 마찬가지로 정보의 종류(자료형) 를 구분해서 기억해!
이런 정보의 종류를 자료형(data type) 이라고 불러.
어떤 자료형이 있을까?
자료형 이름 예시 설명
정수형 (int) | 1, 5, -10 | 소수점 없는 숫자 |
실수형 (float, double) | 3.14, -0.5 | 소수점 있는 숫자 |
문자형 (char) | 'A', 'b' | 글자 하나 |
문자열 (string) | "안녕", "Hello" | 글자 여러 개 |
논리형 (bool) | true, false | 참 또는 거짓 |
왜 자료형이 필요할까?
컴퓨터는 숫자랑 글자를 완전히 다르게 생각해!
- 숫자는 계산하고,
- 글자는 화면에 보여주고,
- 참/거짓은 조건에 사용해.
그래서 컴퓨터가 혼동하지 않게 자료형을 정확히 정해줘야 해!
실제 코드 예시
int age = 10;
float pi = 3.14;
char grade = 'A';
bool isRainy = true;
각각 다른 자료형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모습이야!
오늘 배운 것 정리
자료형은 컴퓨터가 정보를 구분해서 저장하고 다루는 방법이야. 숫자, 글자, 참/거짓마다 자료형을 잘 구분해서 써야 해!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자료구조란 무엇일까? 를 배워볼 거야!
정보가 여러 개 모이면 어떻게 정리해서 저장할 수 있을까? 기대해!
728x90
반응형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부 3편 - 리스트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4) | 2025.04.30 |
---|---|
3부 2편 - 자료구조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31) | 2025.04.30 |
2부 3편 - 프로그램을 작게 나누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1) | 2025.04.30 |
2부 2편 - 조건이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42) | 2025.04.29 |
2부 1편 - 반복이란 무엇일까?(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17)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