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부 5편 - '=' 기호의 진짜 뜻(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025. 5. 7. 09:27ㆍ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728x90
반응형
수학에서 '='는 "같다"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우리는 수학 시간에 '='를 같다는 뜻으로 배웠어요.
예를 들어:
3 + 2 = 5
이건 "3 더하기 2는 5와 같다"는 뜻이죠!
그런데 프로그래밍에서 '='는 같다가 아니라…?
값을 넣는다(저장한다) 는 뜻이에요!
프로그래밍에서 '='의 뜻은?
int age = 10;
이건 "age라는 상자에 10을 넣는다"는 뜻이에요!
'=' 왼쪽은 상자(변수), 오른쪽은 넣을 값이에요.
한 줄씩 해석해보자!
int a = 3;
int b = 4;
a = b;
- a는 3, b는 4로 시작
- 마지막 줄에서 a에 b의 값을 넣음
- 그래서 a는 이제 4가 됨!
이걸 수학처럼 "a = b니까 b = a"로 생각하면 안 돼요!
'==' 기호도 있어요!
수학처럼 "같은지 비교"하려면 '==' 를 써야 해요!
if (a == b) {
printf("같아요!");
}
'='는 넣기, '=='는 비교!
오늘 배운 것 정리
'='는 값을 넣는 기호예요. (같다 아님!)
비교할 땐 '=='를 사용해요.
헷갈리기 쉬우니 꼭 구분해서 기억하자!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주석은 메모장이야! 를 배워볼 거예요!
내가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남겨두는 설명, '주석'이란 걸 함께 알아보자!
728x90
반응형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부 1편 - Hello, World! 출력하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4) | 2025.05.08 |
---|---|
4부 6편 - 주석은 메모장이야!(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32) | 2025.05.07 |
4부 4편 - 숫자와 글자 다루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38) | 2025.05.06 |
4부 3편 - 괄호 ( ) 와 따옴표 " " 사용법(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14) | 2025.05.06 |
4부 2편 - 띄어쓰기와 맞춤법 지키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63)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