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부 4편 - 숫자와 글자 다루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025. 5. 6. 14:33ㆍ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728x90
반응형
컴퓨터는 숫자와 글자를 다르게 생각해요!
우리는 사람이라서 '3'을 보면 숫자인지 글자인지 금방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컴퓨터는 숫자 3과 **글자 '3'**을 완전히 다르게 생각해요!
그래서 우리가 숫자인지 글자인지 정확히 알려줘야 해요.
숫자는 계산할 수 있어요!
숫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같은 계산이 가능해요.
int a = 3;
int b = 5;
printf("결과: %d", a + b); // 결과: 8
숫자형 변수(int, float 등)는 컴퓨터가 '수학적 계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글자는 계산이 안 돼요!
글자는 그저 모양이에요. 계산은 못 해요.
char c = '3';
printf("문자: %c", c); // 문자: 3
보이긴 똑같아도, '3'은 숫자가 아니라 문자예요!
문자열도 있어요!
문자 여러 개가 모이면 문자열(string) 이 돼요.
char name[] = "지민";
printf("이름: %s", name); // 이름: 지민
큰따옴표 " "로 묶으면 여러 글자를 저장할 수 있어요.
숫자처럼 생긴 글자도 있어요
주의! 아래 둘은 다른 거예요!
int num = 5;
char ch = '5';
- num은 숫자 5
- ch는 글자 '5'
계산하려면 숫자여야 하고,
화면에 보여줄 글자라면 문자나 문자열을 사용해야 해요.
오늘 배운 것 정리
숫자와 글자는 컴퓨터에게는 전혀 다른 의미예요.
숫자는 계산, 글자는 출력용으로 쓰여요.
꼭 맞는 자료형으로 구분해서 써야 해요!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 기호의 진짜 뜻을 배워볼 거예요!
프로그래밍에서 '='는 '같다'가 아니에요! 무슨 뜻일까요? 함께 알아봐요
728x90
반응형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부 6편 - 주석은 메모장이야!(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32) | 2025.05.07 |
---|---|
4부 5편 - '=' 기호의 진짜 뜻(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24) | 2025.05.07 |
4부 3편 - 괄호 ( ) 와 따옴표 " " 사용법(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14) | 2025.05.06 |
4부 2편 - 띄어쓰기와 맞춤법 지키기(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63) | 2025.05.02 |
4부 1편 - 코드에는 순서가 있어!(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첫걸음) (18)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