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 입력 방법
UI가 없는 Linux 환경에서는 부팅이 끝난 뒤,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명령 프롬프트가 나온다. UI를 제공하는 Linux 환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선 Terminal 이라는 TTY 프로그램을 통해 Shell에 접근해야한다.
Terminal 이란?
Terminal은 대표적인 TTY 프로그램으로 Shell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Terminal 열기
하단 Redhat 마크를 클릭한다.
konsole을 입력한 뒤, Terminal(console)을 클릭한다.
Prompt
Terminal이 정상적으로 실행 되었을 경우, 프로그램이 팝업된다. 해당 프로그램에 명령어를 입력한 뒤 엔터키를 통해 Shell에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Terminal에서 유저의 명령어를 입력을 대기하고 있는 라인을 Prompt 라고 부른다.
Shell Script
해당 파트는 Shell Script에 대한 간단한 이론과 사용 예시를 다룬다. Shell Script 작성법 및 사용 예시 등은 더 세부적인 설명이 필요하므로 별도로 설명한다.
Shell Script 란?
Shell Script는 Shell 명령어를 파일에 기록해둔 뒤, 파일을 실행했을 때 기록했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는 Script 파일이다. Shell Script는 FTP 다운로드, 파일 백업, 복사 등, Shell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을 자동화할 때 사용한다.
구성
Shell Script 파일 구성은 Shell Script 파일의 가장 윗 라인에는 해당 파일이 Shell Script 파일이란 것을 알려주는 #!/bin/bash 문자가 있으며 그 이후로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명령어들을 기록한다. Shell Script 실행 시 실행 순서는 가장 위에 있는 명령어부터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개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ipeline (0) | 2024.04.24 |
---|---|
Linux 특수 기능 (0) | 2024.04.23 |
Linux 기초 (0) | 2024.04.23 |
vi 편집기 사용법 (0) | 2024.04.23 |
vi 편집기 사용법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