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vi 편입기는 크게 입력모드, 명령모드, 콜롬모드 총 세가지로 분류된다.

1. 입력모드 
  편집기에서 타이핑을 하여 파일의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모드로 가야한다. 입력모드로 들어가는 키를 누르면  하단에 --INSERT--가 나오면서 입력모드로 바뀐다. 다음의 키를 누르면 입력모드로 들어간다. 

2.명령모드
 복사, 붙이기, 삭제 등의 편집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다. vi는 실행될 때 명령 모드에서 시작하며 입력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전환하려면 ESC키를 누르면 된다.

커서는 입력 모드와 명령모드상태에서 이동이가능한데, 입력모드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법은 방향키를 사용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명령모드에서는 방향키 뿐만아니라 키보드 명령을 통해서도 커서 이동이 가능하다

글자단위

단어 단위

줄단위

화면 단위

3. 콜론 모드

ESC를 누르고 ':'를 입력한 상태가 콜론 모드이다. ex모드라고도 한다.
vi의 특별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실행모드를 의미한다.
콜론모드에서는 여러가지 명령어 수행이 가능하다. 주로 열기(:e), 저장(:w), 종료(:q), 저장후 종료(:wq), 강제종료(:q!), 저장 후 강제종료(:wq!) 등의 명령을 수행하며 콜론모드에서 쓰일 수 있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728x90
반응형

'개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입력 방법/Shell Script란?  (0) 2024.04.23
Linux 기초  (0) 2024.04.23
vi 편집기 사용법  (0) 2024.04.22
vi 에디터 .vimrc파일 설정하기  (0) 2024.04.22
[linux]VI Editor 사용법1  (0) 2024.04.19
728x90
반응형

vi 편입기는 크게 입력모드, 명령모드, 콜롬모드 총 세가지로 분류된다.

1. 입력모드 
  편집기에서 타이핑을 하여 파일의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이다.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모드로 가야한다. 입력모드로 들어가는 키를 누르면  하단에 --INSERT--가 나오면서 입력모드로 바뀐다. 다음의 키를 누르면 입력모드로 들어간다. 

2.명령모드
 복사, 붙이기, 삭제 등의 편집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다. vi는 실행될 때 명령 모드에서 시작하며 입력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전환하려면 ESC키를 누르면 된다.

커서는 입력 모드와 명령모드상태에서 이동이가능한데, 입력모드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법은 방향키를 사용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명령모드에서는 방향키 뿐만아니라 키보드 명령을 통해서도 커서 이동이 가능하다

글자단위

단어 단위

줄단위

화면 단위

3. 콜론 모드

ESC를 누르고 ':'를 입력한 상태가 콜론 모드이다. ex모드라고도 한다.
vi의 특별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실행모드를 의미한다.
콜론모드에서는 여러가지 명령어 수행이 가능하다. 주로 열기(:e), 저장(:w), 종료(:q), 저장후 종료(:wq), 강제종료(:q!), 저장 후 강제종료(:wq!) 등의 명령을 수행하며 콜론모드에서 쓰일 수 있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728x90
반응형

'개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기초  (0) 2024.04.23
vi 편집기 사용법  (0) 2024.04.23
vi 에디터 .vimrc파일 설정하기  (0) 2024.04.22
[linux]VI Editor 사용법1  (0) 2024.04.19
[linux] 리눅스 command 기본 2  (0) 2023.1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