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리눅스 완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가이드

"리눅스가 뭐야? 윈도우랑 뭐가 다른 건데?"  
"터미널? 그건 해커들이 쓰는 거 아니야?"  

혹시 이런 생각 드셨다면, 딱 잘 오셨습니다.  
이 글은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분**,  
**명령어는 커녕 ‘검정 화면’도 처음 보는 분**을 위한 **진짜 기초 가이드**입니다.

---

리눅스가 뭔가요?

리눅스는 **윈도우, 맥OS처럼 컴퓨터를 작동하게 하는 운영체제**입니다.  
다만,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이거예요:

>  리눅스는 “무료”이고 “누구나 고칠 수 있는” 오픈소스입니다.

전 세계 수많은 개발자들이 함께 만들고 있어서, 보안이 강하고 속도도 빠르죠.  
많은 서버, 스마트폰, 심지어 우주선(!)에도 리눅스가 들어갑니다.

---

 리눅스를 왜 배우나요?

윈도우만 써도 잘 사는데, 굳이 왜 리눅스를 배우냐고요?

이런 분들에게 특히 추천해요:

- 개발자를 꿈꾸는 사람
- 서버, 클라우드, AI 공부하고 싶은 사람
- 컴퓨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사람
- 나만의 노트북 환경을 만들고 싶은 사람

---

 리눅스를 설치하지 않고 체험하는 방법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아래 방법 중 하나로 가볍게 체험해볼 수 있어요.

1.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 윈도우 안에서 리눅스 사용  
2. **가상 머신 (VirtualBox)** – 리눅스를 가상 환경에 설치  
3. **USB 부팅** – 설치 없이 USB로 실행  
4. **리눅스 웹 체험 사이트** – [https://bellard.org/jslinux/](https://bellard.org/jslinux/) 등

가장 쉬운 방법은 **WSL**입니다.  
터미널만 띄우고 바로 명령어를 써볼 수 있어요.

---

“터미널”이란?

리눅스는 마우스보다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해서** 컴퓨터를 조작합니다.  
그걸 입력하는 곳이 바로 **터미널**입니다.

예를 들어, 폴더 안에 뭐가 있는지 보려면 아래처럼 입력해요:

```bash
ls

 

리눅스에서 꼭 알아야 할 5가지 명령어!!

아래 다섯 개만 알아도 리눅스 기본은 시작됩니다.

명령어하는 일
ls 현재 폴더 안의 파일 목록 보기
cd 폴더 이동 (cd 폴더이름)
mkdir 새 폴더 만들기
touch 새 파일 만들기
rm 파일 삭제

mkdir test         # 'test' 폴더 만들기
cd test            # 그 폴더 안으로 들어가기
touch hello.txt    # 빈 파일 만들기
ls                 # 목록 보기 (hello.txt 보일 거예요!)
rm hello.txt       # 파일 삭제

 

 

리눅스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

직접 따라 해보기!
명령어는 눈으로 보면 헷갈리고, 손으로 쳐보면 기억에 남아요.
하루에 명령어 하나씩만 따라 해보세요. 어느 순간 익숙해집니다.

 

처음에는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리눅스는 단순하고, 논리적이며, 자유로운 운영체제입니다.

하나씩 차근차근 배우다 보면,
“아, 내가 진짜 컴퓨터를 다룰 줄 아는구나” 하는 자신감이 생길 거예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Linux란? 
Linux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Unix의 일종인 Minix 를 기반으로 개발한 OS. 개발 초기 다양한 사람이 편집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픈 소스로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모든 소스가 공개된 상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조
Linux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커널, 사용자가 커널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Shell, 그 외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HW 
CPU, RAM, 하드디스크 등, 실제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 장치를 뜻한다.

Kernel
KernelLinux OS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물리적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CPU,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Shell
Shell은 유저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어를 번역하여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Shell의 종류는 Bourne shell, C shell, Korn shell, Bash shell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리눅스는 주로 Bash shell을 사용한다. Shell은 명령어 번역 역할을 하는 Shell 과 유저로부터 입력을 받는 TTY로 구성된다

TTY
Shell Kernel과 유저 간 명령어 번역 역할만 수행하며, 명령어 입력을 받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저가 Kernel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Shell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TTY (teletypewriter)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TTY 프로그램으로는 Terminal, Konsole 등이 있다.

응용 프로그램
유저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Kernel, Shell을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이 해당된다. 대표적인 응용 프로그램으로 gcc, g++, vim, gedit 등이 있다

배포판
Linux의 핵심 소프트웨어인 Kernel을 일반 유저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Shell, UI, 기타 응용프로그램 등등, 무수히 많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일반 사용자가 Linux를 쉽게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Kernel 과 기타프로그램들을 패키징한 전체 운영체제를 배포판이라고 한다.
Linux 배포판은 개발 그룹에 따라 계열로 나뉘고 있는데, 대표적인 계열로 Fedora 계열, Debian 계열, Android 계열 등이 있다. 현재 설명에서는 Redhat 계열의 Redhat Linux를 기준으로 삼고있다.

관리자와 일반 유저
Linux에서 유저 계정은 관리자 계정과 일반 계정으로 구분된다. 관리자 계정은 Linux 시스템을 모든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시스템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일반 계정은 제한적인 권한을 가지지만, 관리자 권한을 얻을 경우 관리자 계정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관리자 계정은 Super User 또는 root 라고 부른다.

 

 

728x90
반응형

'개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특수 기능  (0) 2024.04.23
리눅스 명령어 입력 방법/Shell Script란?  (0) 2024.04.23
vi 편집기 사용법  (0) 2024.04.23
vi 편집기 사용법  (0) 2024.04.22
vi 에디터 .vimrc파일 설정하기  (0) 2024.04.22
728x90
반응형

vi 편집기란 : visual display editor를 의미 .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 unix 계열 대부분 기본으로 제공된다. vi가 개량된 vim이 있다. 

실행 방법 : 
 vi 파일명

입력모드 : 
 a눌러 수정 혹은 입력 가능

명령모드 : 
 esc 키 누른뒤 사용
예) 특정 단어 검색시 /단어 후 엔터 다음 검색단어로 넘어가고 싶은 경우 n을 누른다 

저장 :
 esc 키 누른뒤 :wq 입력 후 엔터 -> 저장 후 닫기
 esc키 누른뒤 :w 입력 후 엔터 -> 저장만 됨

종료 : 
esc 키 누른 뒤 :q 입력 후 엔터
강제 종료 -> :q! 입력 후 엔터 

내용 보강 하여 정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